성형 후 초기 미세조직 복원을 통한 연성 회복능을 가진 중망간강의 제조방법
성형 후 초기 미세조직 복원을 통한 연성 회복능을 가진 중망간강의 제조방법
기본정보
카테고리 | 융복합소재 |
---|---|
번호 | 137 |
기술명 | 성형 후 초기 미세조직 복원을 통한 연성 회복능을 가진 중망간강의 제조방법 |
출원번호 | 10-2020-0051129 |
등록번호 | 10-2422302 |
출원일자 | 2020-04-28 |
등록일자 | 2022-07-13 |
TRL(기술성숙도) | TRL 4 |
상세 정보
발명의 명칭 | 성형 후 초기 미세조직 복원을 통한 연성 회복능을 가진 중망간강의 제조방법 |
---|---|
특허권자 |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, 한양대학교산학협력단 |
발명자 | 한정호, 정문식, 박탁민, 이석재 |
기술보유기관 |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|
카테고리 | 융복합소재 |
거래 유형 | 협의 |
금액(만원) | 협상 |
기술 내용
요약
고강도와 고연성을 동시에 가지는 중망간강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. 이상 열처리를 통해 이상 조직이 형성되고, 냉간 성형 공정이 수행된다. 냉간 성형 공정이 수행된 강재에 대해 국부적인 회복 가열/냉각 공정이 수행되고, 회복 가열된 부위에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조직은 잔류 오스테나이트로 복귀된다. 이를 통해 국부적으로 회복 가열/냉각이 수행된 영역은 고연성을 가지고, 잔류 영역은 마르텐사이트 조직에 의한 고강도가 구현된다.
기술 개요
미세조직 복원을 이루고 복합적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중망간강 제조방법
기술 분야
본 발명은 중망간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, 더욱 상세하게는 중망간강에 [0001] 대한 열처리를 통해 초기 미세조직 복원을 이루고 용접없이도 복합적인 기계적 성질을 가질 수 있는 중망간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.
해결하고자 하는 과제
[0009]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부품 내에 높은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중망간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.
효과
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, 차체의 센터 필러 등의 복합적 물성이 요구되는 부품 [0011] 또는 강재는 1500 MPa 이상의 고강도를 가지면서 높은 변형률은 가지는 특징을 가진다. 즉, 센터 필러, 바디 사이드, 사이드 멤버, 범퍼 또는 루프 레일 등 하나의 부품에서 복합적인 기계적 물성이 요구되는 영역에서 높은 강도와 국부적으로 뛰어난 연성 을 가질 수 있다. 이를 통해 이종 강재를 조립하거나 용접을 통한 추가적 공정이 생략되고, 생산성 및 경제성이 향상된다.
적용 분야
자동차 차체
아직 댓글이 없습니다.